소설의 경계를 넘는 실험 모던 픽션

 울프는 새 소설의 이론가였다. 이 새로운 소설은 울프가 "현대 소설"이라고 부른 것이다. 하지만 울프가 말하는 "현대 소설"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울프는 1927년 자신의 일기에 이렇게 썼다. 버지니아 울프가 해냈다고? 하지만 무엇이 새로운가?" 이 상담에서는 평생 '현대 소설'을 고민해 온 작가의 속내를 읽을 수 있다.


울프는 일생 동안 쓴 아홉 편의 소설과 자전적 글에서 끊임없이 소설의 관습에 도전했고 그의 글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20세기 초는 영국 소설사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울프도 극찬한 제임스 조이스 등 기성 소설의 문법을 깨고 새로운 기법을 실험하는 작가들의 움직임이 활발했다.


울프는 이 변화의 징후를 누구보다 빨리 감지했다.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오늘날의 영국 소설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등장했다. 헨리 제임스, 조지프 콘래드, 포드 매독스 포드와 같은 작가들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사실주의"의 선구자로 불렸다. 그들과 함께 E. M. 포스터와 윈덤 루이스, 그리고 약간 다른 시각에서 현실적인 글쓰기를 추구한 아놀드 베넷과 H. G. 웰스가 있었다.


지난 시리즈에서 말했듯이, 울프는 베넷과 웰스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이었다. 울프처럼 자의식과 내면을 표현하는 데 비판적이었기 때문이다. 울프와 대립각을 세웠지만 베넷과 웰스는 기존 소설의 문체를 혁신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 똑같이 공감했다.


다만 울프는 당시 현실에 대해 누구보다 날카로운 시선을 가졌다는 점에서 그들과는 다른 길을 보여줬다. 울프의 이론은 모더니즘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예술 운동의 핵심을 꿰뚫었다.


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원래 모더니즘은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절정에 달했던 근대화라는 새로운 세계 변화의 현실을 포착하기 위한 예술 기법을 의미했다. 이 변화는 스타일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리까지 아우르는 커다란 변화이다. 울프는 이러한 현실의 변화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고 그것을 이론화하려고 노력했다. [Modern Fiction]과 [Mr. Bennett and Mrs. Brown]은 신작 소설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으며, 모더니즘 소설의 선언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나는 울프를 소설가 못지않은 비평가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자세히 읽어보면 울프의 비평은 대부분 선언문의 형태로 쓰여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olf는 항상 선언의 위치에 서왔다. 그가 그랬던 만큼 현대성의 첨예한 문제를 놓치지 않았다.


나는 울프를 단순히 '여성 작가'로 분류하고 그를 당대를 지배했던 모더니즘 작가 중 한 명으로 치부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울프에게 '모던 픽션'은 소설의 한 형태가 아니었다. 울프에게 '모던 픽션'은 기존 소설의 경계를 뛰어넘는 실험이었다.


이 대담한 실험에 대한 동시대의 동료 작가들의 반응은 흥미롭다. E. M. 포스터가 말했듯이, "울프의 예술은 너무 특이해서 학계의 비평가들은 그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형식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정처 없이 흔들리며 앞뒤로 흔들리는 긴 문장은 분명 당시의 풍습에 낯설었다. 베넷과 웰스는 불평할 만했다. 베넷은 울프의 야곱의 방 리뷰에서 당시 젊은 작가들을 언급하며 "그들은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사회의 상태를 묘사하느라 바쁘다"고 비판했다. 베넷은 울프의 소설에서 "인물의 성격은 살아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그 진단은 울프가 "창의성과 민첩성에 너무 사로잡혀" 세부 사항에 집중하지 못한다는 것이었다.2)


울프의 수필 "모던 픽션"과 "베넷과 브라운 부인"은 베넷과 같은 작가들의 비판에 대한 반응이었다. 새로운 리얼리즘을 시도한 베넷에게는 무엇보다 소설이 캐릭터를 만들어낸다. 베넷에게는 울프의 소설 야곱의 방의 등장인물들이 평탄함을 벗어나지 못한 것처럼 보였다.


사실 베넷의 생각이 심상치 않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입장은 일반적으로 모더니즘에 대한 현실주의 비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울프는 종종 '갭'과 '부재'를 야곱의 방을 포함한 소설에서 일어나는 사건들로 묘사한다. 이런 식으로 글을 쓰는 것은 작가 자신의 개인사와는 무관하다. 울프에게 인생은 왔다 갔다 하는 순간의 연속이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부재'는 곧 시간의 '갭'을 만들 것이고, 울프는 그곳에서 자신의 죽음을 목격했을 것이다.


이 부정의 세계는 곧 울프의 미학을 구성했다고 말할 수 있다. 허구는 결국 과거의 이야기이다. 이 과거들은 잃어버린 무언가의 흔적들이다. 아무리 기억을 되살려도 결국 '갭'이 생길 수밖에 없다. 울프가 소설을 통해 추구한 '의식의 흐름'은 이 '부재'와 '갭'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기 위한 노력이었다.


생명을 올바르게 다루는 물품

이런 소설은 기존 이야기의 구조와는 전혀 다른 것이 될 수밖에 없다. 현실을 정립하고 일정한 형식에 따라 재구성하는 기존 소설과 달리 울프의 소설은 내면의식을 드러내는 것에 가깝기 때문이다. 베넷처럼 일종의 전형적인 캐릭터를 염두에 두고 있는 이들에게 울프의 이야기는 낯선 형식이었을 것이다. 울프를 사로잡은 것은 "생명을 다루는 적절한 방법"이었다. 이 시점에서 볼프의 글은 전기적인 글과 허구적인 소설로 나뉜다.


울프는 1908년 여동생 바네사 벨의 남편 클라이브 벨에게 보낸 편지에서 "삶을 제대로 다루는 글이라는 미묘한 주제에 대해 쓰고 싶다"고 말한다. "인생을 제대로 다루는 글쓰기"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나는 울프가 자신의 삶에 대해 쓰고 있는지 궁금하다.


그는 1908년 '신전기'(1927년)와 '전기의 기술'(1940년)이 의식의 완성이라고 생각하지만 '아직은 어떻게 써야 할지 모르겠다'고 고백한다. 전기라는 장르는 역사적 사실과 상상력을 결합할 수 있는 글쓰기 형식이다. 어린 시절부터 볼프는 전기 재료를 거울로 사용하여 글을 쓰려고 했다. 이 노력은 밤낮으로 빛난다. 이 소설에서 울프는 전기와 허구를 대조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전개한다.


이런 전기에 대한 울프의 관심은 꽤 흥미롭다. 울프의 아버지인 레슬리 스티븐이 국가 전기 사전을 편찬한 공로로 왕실에 의해 왕위에 올랐기 때문이다. 울프가 전기를 고급 문체로 받아들인 것도 이런 가정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