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에페소스 출신인 헤라클레이토스는 '울음철학자'라는 별명이 말해주듯 세상에 대해 매우 비관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친구 헤르모도로스(?~?)가 추방당하자 세상을 미워하게 된 것 같다.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해 도기 조각에 독재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의 이름을 적어 투표로 추방하는 제도가 있었다. 이 추방제와 비슷한 제도가 에베소에도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헤라클리토스는 헤르모도스를 추방한 에페소 시민에게 이런 악담을 퍼부었다.
에베소에 있는 모든 성도들은 스스로 교수형을 당하니, 그 성읍은 아이들에게 맡겨야 한다. 그들은 그들 중 가장 뛰어난 사람인 헤르모도루스를 추방했다. 왜냐하면 그들 중 어느 누구도 최고가 되어서는 안 되고, 만약 최고가 있다면, 그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다른 곳에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1
그는 법을 만들라는 에페소스의 요청을 거절하고 아르테미스 신전으로 쫓겨나 아이들과 주사위 놀이를 했다. 그것을 보러 온 사람들에게, 그들은 말했습니다. "이봐, 이 멍청이들아. 정치하는 것보단 낫지 않아?"
인간 혐오자가 된 그는 산으로 들어가 식물과 약초를 먹고 살았다. 그렇게 살다가 수두증에 걸려 도시로 내려와 의사를 만나 "홍수가 가뭄으로 변할 수 있겠느냐"는 달콤한 질문을 던진다. 의사가 대답을 못하자 헛간에 가서 온몸에 똥이 묻었다고 했다. 거름의 열기로 체내의 수분을 빼내려는 시도였다. 물론, 그것이 그 병을 치료하지는 못했습니다. 결국 그는 60세의 나이에 온몸에 소똥이 튀어 죽었다.
대중들에 대한 증오에서 증명되었듯이, 헤라클레이토스는 확고한 엘리트주의자였다. "가장 뛰어난 사람은 만 명과 동등하다"는 강한 신념으로, 그는 우중(武中)에 의한 민주주의보다 소수의 현자에 의한 통치를 선호했다. 바보들은 "사람들의 시인을 믿고, 사람들을 그들의 스승으로 삼는다." 그러나 그는 반대로 대중을 경멸했고 그 시인을 신뢰하지 않았다.
자존심과 경멸의 태도로는 그를 따를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대중, 시인뿐만 아니라 당대의 저명한 철학자들조차 그의 비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많이 안다고 해서 이해되는 게 아니다. 만약 그렇다면 헤시오도스와 피타고라스, 크세노파네스는 양해를 구했을 것이다. 지혜는 모든 것을 지배하는 그놈을 파악하는 것뿐이다."
초기 철학자들처럼, 그는 여전히 감각을 선호했다. "우리가 보고, 듣고, 경험할 수 있는 것, 그것이 내가 선호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그것을 완전히 신뢰하지 않았다. 그는 감각은 이성적인 영혼을 가진 사람에게만 좋은 도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잔인한 영혼을 가지고 있다면 눈과 귀는 인간에게 나쁜 증인이 됩니다." 철학적 역사상 처음으로 관능적 인식과 이성적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곳이다.
나아가 진리는 때와 장소,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똑같이 나타나는 보편적인 이유(로고)와 같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 이외에는 아무도 '로고'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은 이 단어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결코 이해하지 못할 것 같다. 그것을 듣기 전과 들은 후에. … … 다른 사람들은 잠을 잘 때 무엇을 하는지 잊어버리듯이, 그들이 깨어났을 때 무엇을 하는지조차 모른다.
그가 썼다고 밝힌 '자연에 관하여'는 우주론, 정치학, 신학 등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그가 이 책을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맡겼다고 하는데 아쉽게도 우리에게 전달되지 않았다. 이 책의 '정치' 부분이 눈에 띄는데, 철학에 대한 관심을 우주에서 사회로 옮긴 것도 그의 업적 중 하나다.
헤라클레이토스는 젊었을 때는 아무것도 몰랐지만, 늙었을 때는 모든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크세노파네스의 제자였다고 하지만, 그 자신은 어느 학파에도 속하지 않으며 스스로 모든 것을 알아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밀레토스 근처의 에페소스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밀레토스의 자연 철학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의 원조는 '불'이었다. "이 세계 질서는 신이 만든 것도 아니고 인간이 만든 것도 아니고, 언제나 그랬고, 영원히 그럴 살아 있는 불이다."
물론, 그는 밀레토스의 철학을 따르지 않았다. Aximander는 Arche가 특정 요소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이미 보여주었다. 헤라클레이토스가 말한 '불'은 물리적 물질이라기보다는 변형의 원리, 즉 메트로론에 가까웠다.
물건이 금으로 변할 수 있고 금이 상품으로 변할 수 있듯이 모든 것이 불로 변할 수 있고 불이 모든 것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것은 금으로 살 수 있고, 모든 것은 금으로 팔 수 있다. 이 교환에서 변하지 않는 것은 그 물건의 (아마도 금전적인) 가치일 것이다. 헤라클레이토스가 말하는 '불'은 원소들의 상호 변형에도 동일하게 남아 있는 이 척도 자체를 상징한다. 중세 연금술사들은 불이 무엇이든 금으로 바꿀 수 있다고 믿었다.
우는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는 '어둠의 사람(이해할 수 없는 사람)'이라고도 불렸다. 그는 역설, 아이러니, 유추 등 다양한 단어 게임으로 의도적으로 메시지를 어렵게 만드는 것을 좋아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렸다.
그는 "델파이에서 신탁을 주는 자는 숨기거나 드러내지 않고 힌트만 준다"고 말하곤 했다. 본질적으로, '암시'는 드러내는 것과 감추는 것을 동시에 의미한다. 그런 식으로 그는 '상대적 통일'이라는 자신의 명제에 충실했다. 앞서 그가 "사람들은 영원히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한 '말'이 바로 이 명제의 원리, 즉 반대파의 단결이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